목록Git (6)
kimgusxo 님의 블로그
1. .gitignore와 글로벌 Ignore1-1. .gitignore의 역할깃이 추적하지 않아야 하는 파일(로그, 빌드산출물, 보안 설정 파일 등)을 명시하는 설정파일협업 시 불필요하거나 민감한 파일이 깃 히스토리에 포함되지 않도록 관리한다.# 빌드 산출물(바이너리, 클래스, 패키징 결과 등)target/build/...# Eclipse/IntelliJ/VSCode 등 IDE 설정 파일*.iml*.ipr...# OS별 불필요 파일.DS_StoreThumbs.db# 환경 변수나 민감 정보(예: 로컬 환경 설정).env 1-2. 글로벌 Ignore특정 프로젝트뿐 아니라 전체 OS에서 공통으로 무시할 파일(IDE 설정 파일 등)을 일괄적으로 등록하고 싶은때 사용한다.git config --global co..
1. 팀 협업을 위한 워크플로우 구성1-1. 브랜치 전략 수립기능별 분리 작업: 각 기능 개발이나 버그 수정을 위해 별도의 브랜치를 생성한다.이를 통해 메인브랜치에는 안정적인 코드만 남기고 개별 작업은 독립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.git checkout -b feature/login정기적 동기화: 기능 브랜치 작업 중에도 메인 브랜치의 최신 변경 사항을 주기적으로 반영한다.git pull origin main병합과 리베이스: 작업 브랜치를 메인 브랜치에 통합할 때 병합 커밋을 허용할지 또는 깔끔한 히스토리를 위해 리베이스를 사용할지 결정한다. 1-2. Pull Request(PR) 기반 프로세스Pull Request 생성: 기능 브랜치에서 작업한 후 원격 저장소(Github)에 푸쉬한다.git push o..
1. 깃허브(Github)란?깃허브는 깃(Git)을 기반으로 한 원격 저장소 호스팅 서비스이다.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레포지토리를 관리하고 팀원들과 협업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(Pull Request, 코드 리뷰, 이슈 관리 등)을 제공한다. 1-1. 깃허브 주요 기능레포지토리 생성 및 관리: 프로젝트 파일과 변경 이력을 웹 상에서 관리한다.포크(Fork): 다른 사용자의 레포지토리를 내 계정으로 복제하여 독자적으로 작업 가능풀 리퀘스트(Pull Request): 기능 브랜치의 변경사항을 메인 브랜치에 병합하기 전, 팀원 간 리뷰 및 토론 진행이슈 관리: 버그, 기능 개선 요청 등을 기록하고 추적한다.프로젝트 보드: 칸반 보드 등으로 작업 진행 상황을 시각화한다. 2. 로컬 저장소와 깃허브 연동2-1..
1. 브랜치(Branch)의 이해와 활용1-1. 브랜치란?브랜치는 메인 코드 라인에서 분리된 독립적인 작업 공간을 제공한다. 새로운 기능 개발이나 버그 수정 시 메인 코드에 영향을 주지 않고 별도로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다.각 기능을 독립적으로 개발 및 테스트할 수 있다.코드 충돌 가능성을 줄이고 안정적인 메인 브랜치를 유지할 수 있다. 1-2. 브랜치 확인로컬 저장소의 브랜치 확인하기git branch원격 브랜치까지 포함한 모든 브랜치 확인하기git branch -a 1-3. 브랜치 생성 및 전환브랜치 생성: "feature/login" 이라는 이름의 새 브랜치를 생성한다.git branch feature/login브랜치 전환: 특정 브랜치로 전환할 때 사용하며 현재 작업 공간을 해당 브랜치로 이동시킨..

1. Windows에서 깃 설치하기1-1. Git for Windows 다운로드https://gitforwindows.org/위의 링크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. 1-2. 설치 및 실행 1-3. 설치 완료 및 확인 2. 깃 환경 설정설치 후, 깃을 사용할 때 중요한 사용자 정보와 환경 설정을 진행합니다. 올바른 설정은 커밋 기록과 협업 과정에서 큰 도움이 된다.2-1. 사용자 정보 등록사용자 이름과 이메일 설정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테스트"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test@example.com"설정 확인git config --global --list 3. 기본 명령어3-1. 새로운 레포지토리 생성 및 초기화프로젝트 폴더 생성 및 이동mkdir ..
1. 깃(Git)이란 무엇인가깃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(DVCS)으로 소스 코드 및 기타 파일의 변경 이력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도구 1-1. 깃의 특징분산형 관리: 모든 개발자가 전체 레포지토리의 복사본을 로컬에 보유하므로, 네트워크 문제나 중앙 서버 장애 상황에서도 작업을 이어갈 수 있다.빠른 성능: 로컬에서 대부분의 작업(커밋, 브랜치 생성, 로그 확인 등)을 수행하므로 속도가 매우 빠르다.효율적 저장: 변경된 부분만 저장하는 방식(Date Encoding)을 사용하여 저장 공간을 절약한다.유연성: 브랜치를 통한 병렬 개발 및 실험적 개발이 가능해 다양한 협업 시나리오에 대응할 수 있다. 2. 깃의 탄생 배경2005년 리누스 토르발스(Linus Torvalds)가 리눅스 커널 개발..